전라남도곡성교육지원청 태극기. 국가상징 자세히보기

연혁

  • 화면 크게
  • 화면 작게
  • 인쇄하기
  •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새창열림
  • 트위터로 공유하기

2000년 연혁

  • 2003. 01. 01 조직진단결과 조직개편 확정 통보(행정 81413-1063, 2002.08.26) · 초등교육계를 초등교육담당으로
    · 중등교육계를 중등교육담당으로
    · 사회체육계를 사회체육담당으로
    · 과학정보교육담당을 신설하고
    · 서무계를 총무담당으로
    · 정보관리계를 관리담당으로
    · 경리계를 경리담당으로
    · 시설계를 시설교육담당으로 명칭 변경
  • 2004. 03. 20곡성체험학습장 개장
  • 2005. 04. 18곡성유치원 개원
  • 2006. 12. 13곡성영어타운 개원
  • 2007. 06. 14곡성국민체육센터(수영장) 개장
  • 2007. 07. 27곡성공공도서관을 곡성교육문화회관으로 개칭
  • 2008. 01. 01곡성영어타운을 곡성외국어체험센터로 개칭
  • 2010. 02. 25곡성영재교육지원센터 개원
  • 2010. 09. 01전라남도곡성교육지원청으로 조직개편
  • 2019. 03. 01 2019.3.1.자 전라남도교육청 조직개편 시행에 따른 사전 대비 안내(행정과-1863, 2019.02.13)
    · 교수학습지원팀를 교수학습팀으로
    · 인재육성지원팀를 학교혁신팀으로
    · 체육청소년지원팀를 체육복지팀으로
    · 생활인권을 신설하고
    · 행정지원팀를 행정팀으로
    · 재정지원팀를 교육재정팀으로
    · 학교지원팀을 신설
  • 2020. 03. 01 2020.3.1.자 전라남도교육청 조직개편 및 사전 대비 사항 알림(행정과-225, 2020. 1. 8)
    · 교수학습팀를 유초등교육으로
    · 교원능력개발를 중등교육팀으로 명칭 변경

1990년 연혁

  • 1991. 01. 01문교부를 교육부로 명칭 변경
  • 1991. 01. 09교육자치제 개선, 「민선 교육감」출현
  • 1991. 05. 02중학교 무상 의무교육을 면 단위 전지역에 확대키로 결정
  • 1991. 09. 03전국 15개 시·도 교육위원회 일제히 개원 ( 30년만의 부활 )
  • 1991. 03. 26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시행령 개정 ( 대통령령 제 13621호 )으로 전라남도 곡성교육청으로 명칭 변경
  • 1996. 03. 01국민학교를 초등학교로 명칭 변경
  • 1996. 06. 10 1997년부터 전국 읍·면 소재 중·고교 학교급식 실시
  • 1998. 04. 28전라남도 하급 교육청 사무분장 규칙 개정규칙 ( 전라남도규칙 제397 호 )에 의거 관리계를 정보관리계로 명칭 변경

1980년 연혁

  • 1980. 01. 28중학교 설립 인가권을 관할 교육위원회로 이양
  • 1980. 11. 01중학교 의무교육 '83학년도 면 이하 지역부터 실시 방침

1970년 연혁

  • 1970. 07. 251971학년도 중학교 무시험 진학계획 확정(전국을 116개 학교군, 1,038개 중학구로 나눔 )
  • 1973. 02. 01교육법 개정으로 중학교 교육장 중학교까지 관장
  • 1976. 10. 01교육장 하부조직 규칙 개정으로 2과 6계 조직
    · 2과 : 학무과, 관리과
    · 6계 : 초등교육계, 중등교육계, 사회체육계, 관리계, 경리계, 시설계
  • 1979. 08. 17하부조직 규칙 개정으로 관리과에 서무계 증설 ( 2과 7계 )

1960년 연혁

  • 1961. 10. 06곡성군 교육규제 폐지
    곡성군 밑에 교육과 설치
  • 1961. 04. 15학기초를 3월로 변경
  • 1961. 10. 28교육규제를 폐지하고, 각 시·군에 교육의원회 설치
  • 1962. 01. 06교육자치제 폐지
  • 1962. 11. 03교육위원회 부활
  • 1962. 01. 01시·군 자치제 폐지로 인하여 곡성군청 편입
  • 1964. 01. 011963. 12. 31자 도교육위원회 구성
    교육자치제 부활로 인하여 곡성군교육청으로 발족
    학무과, 관리과를 둠
    초대 교육장 하문호 임명
    각 시·도교육감 임명
  • 1964. 01. 04각 시·도교육위원회 재발족
  • 1968. 07. 15중학 입시제도 폐지

1950년 연혁

  • 1950. 04. 08각도의 교육사회국을 문교사회국으로 통합
  • 1950. 06. 016년제 의무교육 실시, 신학년도( 新學年度 ) 개시
  • 1951. 06. 04곡성군 교육위원회 발족
  • 1951. 08. 20시·군자치제 실시로 인하여 곡성군 교육구청으로 개칭
  • 1952. 05. 24교육자치제 실시
    곡성군 교육위원회 구성
    초대 교육감 조춘제
    학무과, 관리과를 둠.
  • 1956. 11. 23교육구의 직제 개편으로 제 폐지되고 교육장을 둠.
  • 1959. 12. 12학무과, 관리과 설치

1940년 연혁

  • 1945. 09. 16미군정청, 한국 교육위원회를 조직
  • 1961. 04. 15군정 법령 제64호로 군정청 학무국을 문교부로 승격·개편
  • 1946. 09. 01각급 학교 교육과정 제정
  • 1948. 10. 16신학제 개혁안 6-3-3-4제 발표
  • 1948. 11. 14문교부 설치( 대통령령 제22호 : 5국 1실 22과 편성 )
  • 1948. 11. 18도지사 소속 학무국 설치 (학무과에 장학관과 장학사를 두어 초·중 등교육 전반 지도 감독 )
  • 1949. 08. 15학무국이 교육국으로 개칭 (학무과, 학사과, 문정과 )
  • 1949. 12. 31교육법 공포 (법률 제 86호 ) : 군단위 교육위원회 설치
  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