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라남도곡성교육지원청 태극기. 국가상징 자세히보기

  • 화면 크게
  • 화면 작게
  • 인쇄하기
  •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새창열림
  • 트위터로 공유하기

연락처: 061-362-0850

의무교육 조기 정착 및 생애주기별 교육지원 체계 구축

특수교육대상영아(만3세 미만) 무상교육 지원
  • 장애의 조기발견 및 조기교육을 통하여 2차 장애의 예방 및 발달촉진
  •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장애영아의 경우, 조기교육을 위해 수시 상담 및 무상교육 지원
  • 특수교육지원센터 내 영아학급 연차적 편성·운영
  •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되어 가정, 시설 등에 있는 특수교육대상영아 순회교육 제공
    ※ 보건복지부의 무상보육료와 중복지원 불가
유치원 과정 특수교육대상자(만3∼5세) 의무교육 조기 정착
  • 의무교육 전면 시행 철저
  • 일반유치원 배치 희망 특수교육대상 유아 지속적 지원
특수교육기관의 신(증)설을 통한 특수교육 기회확대
  • 장애학생의 교육권 보장을 위하여 특수학교(급)신증설 확대추진
  •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학급당 학생수 감축
특수교육대상학생의 순회교육 내실화 도모
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 및 병원학교 설치ㆍ운영 강화
  • 만성질환 학생중 해당자를 건강장애로 선정하여 무상교육 혜택 제공
  • 병원학교 및 화상강의 운영지원 내실화
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충실
  • 특수학교 학교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철저
  • 특수학급 및 통합학급 학교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철저
  • 특수교육 교육과정 적용학년 유의 운영
특수교육 대상학생의 개별화교육 강화
  • 개별화교육팀 구성 및 개별화교육 계획 작성ㆍ활용강화
  • 다양한 학생집단, 교사조직, 지원인력 등의 활용을 통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요구에 적합한 개별화 교육 제공 강화
  • 학교급별ㆍ교과별 프로그램 및 자료 개발ㆍ활용 지원
장애학생 인권교육강화
  • 장애학생 대상 성교육 강화
  • 특수교육지원센터 장애학생 인권지원단 활용 성교육 및 상담강화
  • 다양한 측면의 인권교육 강화
특수학교(급) 방과후학교ㆍ토요프로그램 및 방학프로그램 운영
  • 유치원 특수교육대상자 종일반 운영
  • 특수교육기관 방과후 보육교실 운영
  • 특수교육대상자 방과후학교 운영
  • 토요프로그램 운영
  • 특수교육대상자 방학프로그램(계절학교)운영
장애인 고등교육 및 평생교육지원
  • 장애성인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적극 추진
  • 장애인 평생교육시설 설치를 통한 교육기회 확대

통합교육 내실화

일반학교의 장애인 편의시설 확충
  • 일반학교 및 특수학교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확대
  •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점검
장애이해 교육 강화
  • 교과서의 장애관련 내용 교육 충실
  • 일반학교 장애이해교육 실시 안내
  •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예술행사 추진
  • 장애체험활동 등을 통한 장애인식개선 추진
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운영개선
  • 특수학교의 운영개선
  • 특수학급의 운영개선
통합학급 운영·관리 강화
  • 통합학급의 특수교육대상학생 학습활동지원
  • 통합학급당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적정배치 및 일반학생수 감축
  • 통합학급 담당교사의 적정배치
통합교육 연구학교 및 교사연구회 운영
  • 특수교육 관련 도지정 연구학교 운영
  • 통합교육 교사연구회 운영
일반교육 및 특수교육 교원의 통합교육 책무성 강화
  • 일반학교 관리자 및 통합학급 교사에 대한 특수교육 직무연수 확대
  • 일반교원 및 특수교육 교원의 특수교육 직무연수 기회 확대
장애학생학력평가 및 평가조정제 실시
  •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지도
  • 특수교육대상자가 학교단위 평가에 참여할 수 있도록 조치

특수교육 지원 및 진로ㆍ직업교육 강화

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의 내실화
  • 특수교육지원센터 장애학생 인권지원단 운영 기능 추가
  • 특수교육지원센터 중심의 지역사회 유관기관간 협력 체제 구축
  • 특수교육지원센터 시설ㆍ전문인력 확보를 통한 지원기능 강화
  • 지역교육청별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
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지원
  • 치료지원
  • 가족지원
  • 보조공학기기 및 학습보조기 등의지원
  • 특수교육대상자 취학편의를 위한 통학지원
  • 기타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제공
특수교육 보조인력 지원
  • 유급 특수교육실무사 운영강화
  • 자원봉사자, 사회복무요원 등 보조인력 활용 내실화
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진단·평가 및 배치체계 확립
  • 특수교육홍보를 통한 진단ㆍ평가 의뢰 절차의 정착
  •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단ㆍ평가 강화
  •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선정ㆍ배치 절차 준수
  • 취학의무 면제 및 유예자에 대한 학교 지정ㆍ배치
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진로·직업교육 강화
  • 특수학교 「학교기업형 직업훈련실」 효율적 운영
  • 장애학생 「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」의 효율적 운영
  •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 내실화
특수교육의 정보화 지원 강화
  •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정보화 지원 확대
  •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정보 접근권 강화
  • 장애학생 교육정보 지원시스템 구축운영(국립특수교육원 홈페이지 활용)
특수교육 담당교원의 전문성 및 책무성 강화
특수교육 행·재정 지원 확대
  •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운영지도 강화
  • 특수학교(급) 컨설팅 장학 기능 강화
  • 특수학교(급) 시설ㆍ설비 확충 지원
특수교육교원 양성과정 현장연구 및 실습을 위한 연구학교 운영
  닫기